본문 바로가기
정부정책

"주택청약종합저축" 기본 상식은 알고 가자

by RORO. 2022. 8. 29.
반응형

주택청약종합저축

오늘은 매월 납입하고 있는 주택청약종합저축에 대해서 알아볼까 합니다. 스무살 초반부터 납입을 하고 있던 터라 납입금 누적액이 꽤 되는데, '대체 언제까지 입금해야하지?' 싶어서 알아보게된 내용입니다. 간단하게 알고 있어야 할 기초 지식부터 어떻게 납입관리해야할지 정리해보았습니다. 

 

주택청약종합저축이란?

공공주택(국민주택/민영주택)에 청약받고자 하는 사람들이 가입해야 하는 통장입니다.
쉽게 말해, 아파트를 보다 저렴히 분양 받을 수 있는 수단으로, 분양주택의 종류(국민주택/민영주택)에 따라 입주자격을 갖추어 구매 하겠다라는 의사표시로 예금 / 저축하는 금융상품입니다.

국민주택과 민영주택의 차이는 무엇일까?

- 국민주택 : LH공사 등
- 민영주택 : 자이, 래미안, 롯데캐슬, 힐스테이트 등

국민주택은 국민주택기금으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아 건설하는 주택입니다.
정부에서 서민들을 위해 공급하는 주택으로, LH공사 등이 주관하여 브랜드 네임밸류와 좋은 입지보다는 좋은 분양가격대로 제시되는 85m² 이하의 주택을 말합니다.

민영주택은 민간건설회사에서 건설하는 주택입니다.
보통 흔히 알고 있는 고가 아파트 브랜드로 네임벨류가 있는 주택을 말합니다. 보통 대단지로 지어지고 위치가 역세권에 위치하기 때문에 비교적 좋은 환경이 주어집니다. 이러한 좋은 요소로 가격이 많이 오를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보니 분양가는 국민주택에 비해 다소 높습니다.

청년을 위한 주택청약 팁이 있다면?

일반적으로 흔히 알고 있는 대표적인 은행사마다 주택청약통장 예금저축 상품을 운영하고 있어 어떤 은행사에 방문하셔도 주택청약 상품에 가입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청년이라면 '청년우대형 주택청약종합저축'이라는 상품을 가입하면 좋습니다.
위 '청년' 의 가입 가능 기준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가입연령 : 만19세 이상부터 만 34세 이하까지
  • 가입대상 : 연 3천만원 이하의 소득이 있는 무주택 세대주가 기준

만약 이미 주택청약종합저축에 가입한 사람이어도 위 2 조건에 충족한다면 청약 우대형 청약통장으로 전환 가능합니다. 더불어기존 가입기간 및 납부인정 회차를 모두 인정해줍니다.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은 우리은행, KB국민은행, IBK기업은행, NH농협은행, 신한은행, KEB하나은행, 대구은행, 부산은행, 경남은행 9개 주택도시기급 수탁은행에서 상담과 가입신청이 가능합니다.

반응형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의 장점은 뭐가 있을까?

기존 주택청약종합저축의 경우,
금리 : 연 최대 1.8% / 비과세 : 별도 없으므로 이자소득세 14% 부과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의 경우,
금리 : 연 최대 3.3% / 비과세 : 이자소득 5백만 원까지 비과세 적용

때문에 청년들만 가입할 수 있는 주택청약 상품은 예치한 금액에 대해 더 유리한 조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주택청약 1순위 조건은 어떻게 될까?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자로, 가입기간과 납입횟수, 납입금이 충족되어야 합니다.

  • 가입기간 : 24개월
  • 납입횟수 : 24회 이상
  • 납입금 : 300~ 1,500만 원(지역 면적별에 따라 상이)

일반적으로 예치하는 금액은 600만원으로, 가입 후 2년이 경과해야 하며, 지연 / 미납하지 않고 꾸준하게 납입하고 위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아래 민영주택 청약신청 시, 필수로 충족되어야할 지역 면적별에 따른 납입금액을 살펴보겠습니다.

 

주택청약 얼마씩? 어떻게? 납부하는게 좋을까?

주택청약종합저축은 비과세/ 과세를 떠나 자신이 정한 면적에 따른 금액에 맞게 매월 2~10만원씩 꾸준하게 납부하는 게 좋습니다.
매월 10만원이 최대 인정금액이기 때문에 10만 원을 초과해서 납부할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주택청약종합저축에 가입한다면 본인이 원하는 주택 유형과 면적에 따른 금액을 알아봐야 합니다. 그에 맞게 가입기간과 납입 횟수, 납입금액을 충족한다면 1순위 조건이 됩니다.
다만, 예치된 금액에 따라 비과세가 적용되므로 주택청약 1순위 조건에 모두 부합된 상태라면 예금 정지 혹은 월 2만원씩(납입 최소액)으로 유지하는 게 좋습니다. 주택청약종합저축 상품은 일반적으로 입금만 가능하고 출금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원하는 면적에 따른 금액까지 예치 후 정지를 시켜 놓는 게 효율적입니다.

주택청약에 대한 기본상식 포스팅으로, 모두들 1순위 조건되서 분양 당첨되도록 합시다!

반응형

댓글